<p></p><br /><br />[리포트]<br>강원랜드 채용비리 수사단의 고발장 대필 사건 소식, 사회부 배혜림 차장과 뉴스분석으로 이어가겠습니다. 키워드 소개해주시죠. <br><br>오늘의 키워드는 ‘말 바꾼 수사단’입니다. 저희가 고발장 대필 사건을 보도한 이후 강원랜드 수사단은 2차례 반박자료를 냈습니다. 내용을 종합하면 고발인에게 추가로 고발장을 제출하라고 하는 것도, 대필한 것도 모두 문제가 없다는 주장입니다. <br><br>그래서 당당하다는 건데요. 하지만 이런 반박자료를 내기 전, 수사단의 말은 완전히 달랐습니다. 어떤 말이 어떻게 바뀌었는지 전해드리겠습니다. <br><br>1. 수사단의 해명이 구체적으로 언제 어떻게 바뀌었다는 겁니까? <br><br>수사단 관계자가 추가 고발장 대필 사실을 확인하기 전과 후의 말이 달라졌다는 겁니다. <br><br>그제 채널A가 보도에 앞서 "추가 고발장을 내도록 설득한 게 맞냐"고 사실 확인을 요청하자, 수사단 관계자는 “‘이런 일이 있는데 고발하실래요?’라고 묻는 게 웃긴 것”이라고 답변했습니다. <br><br>그런데 어제부터 “추가 고발은 관행”이라고 주장하고 있는 겁니다. <br><br>검사들은 추가 고발장 작성을 관행으로 여기지 않습니다. <br><br>검사들은 수사단 관계자의 첫 번째 반응, ‘고발하실래요’라고 묻는 게 웃기다와 똑같이 반응합니다. <br><br>특히 추가 고발내용이 무죄로 결론이 날 경우 무고죄로 검찰도 함께 처벌될 수 있는 위험이 있기 때문에 이런 일은 일어나지 않는다는 게 많은 검사들의 얘기입니다. <br><br>1-1. 고발장을 대필한 것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말이 바뀌었습니까? <br><br>수사단 관계자는 그제 “대필이 말이 되겠어요? 말이 되나요?”라고 여러 차례 반문했습니다. <br><br>그런데 대필 사실이 있었다는 걸 확인한 이후인 어제는 “고발인에게 편의를 제공하기 위한 것“이라고 또 말을 바꿨습니다. <br><br>그런데 고발장을 대필한 뒤 동의를 받았으니 문제없다는 건데, 검찰은 수사에 주관을 개입해서는 안 됩니다. <br><br>2. 고발인에게 편의를 제공했다는 건데 고발인이 전혀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 것도 문제인 것 같은데요. 고발인 편의가 아니라 수사 편의 때문 아닌가요? <br><br>수사단은 이 고발장을 압수수색 등 강제수사에 활용하지 않았다고 여러 차례 강조하고 있습니다. <br><br>검찰이 대필한 추가 고발장입니다. <br><br>피고발인이 늘어났는데요, 압수수색 영장에는 이들이 그대로 피의자로 기재돼 있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. <br><br>이름이 적히지 않은 대검과 법무부 관계자에 대해서는 성명불상의 대검 법무부 검사라고 기재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 <br><br>3. 수사기관이 고발장을 대필하는 일, 직권남용이라는 지적이 계속되고 있죠? <br><br>직권남용이라는 건 공무원이 권한을 남용해 의무 없는 일을 하게 하는 것이죠. <br><br>이외에 고발장 대필은 허위로 공문서를 작성한 것, 또 증거를 조작한 것이나 다름없다는 지적도 검찰 내부에서조차 계속 나오고 있습니다. <br><br>4. 증거조작과 같은 사건이 발생하면 해외에서는 어떻게 처리됩니까? <br><br>한 검사는 이번 고발장 대필 사건을 보면서 일본에서 일어난 검사의 증거조작 사건이 떠오른다고 했는데요, 뇌물수수 사건을 수사하던 마에다 쓰네히코 검사가 압수물인 플로피디스크의 업데이트 날짜 하나를 고쳤다가 구속됐습니다. <br><br>이번 대필사건과는 다른 점도 많은 사건이지만 검사들이 수사 과정에서 조금의 오해도 생기지 않도록 경계해야 하는 건 의무입니다. <br><br>이번 고발장 대필 사건을 무겁게 인식하고 왜 이런 일이 일어났는지 밝힐 필요가 있다는 의미입니다.